재바기
JaeTech
재바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7)
    • Computer Vision (2)
    • 선형대수학 (9)
    • Papers (1)
    • 알쓸신잡 (7)
    • 삽질 기록 (0)
    • 3D\Multiview Geometry (10)
      • CS231A (10)
    • Computer Science (46)
      • Algorithm (14)
      • JavaScript (3)
      • C || C++ (5)
      • Git || Github (3)
      • Linux (2)
      • DL || ML (5)
      • Operating System (8)
      • Computer Network (0)
      • Database (1)
      • Effective Python (5)
      • Data Communication (0)
    • 회고 (0)
    • Latex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Github

공지사항

  • 주인장에 대해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재바기
선형대수학

대각화

대각화
선형대수학

대각화

2023. 2. 14. 00:14
728x90

대각화

대각화(Diagonalization)

 

정의

두 square matrix A,DA,D에 대해 방정식

D=X−1AXD=X−1AX

를 만족하는 대각행렬 DD와 가역행렬 XX가 존재하면,

행렬 AA는 대각화 가능 행렬이라고 한다. (AA는 diagonalizable하다)

또한 이 경우 행렬 XX는 AA를 대각화한다고 한다.(XX diagonalizes AA)  

 

모든 square matrix가 대각화가 가능한 것은 아니며,

행렬 XX와 DD가 unique한 것은 아니다.

예제) A=[1−23−4],X=[1213]

X−1=[3−2−11] 이며,

X−1AX=[3−2−11][1−23−4][1213]=[−100−2]=D

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 D와 A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건가?
  • 그럼 적당한 X는 어떻게 찾나?

이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보자.  

 

정리

n×n 행렬 A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A는 대각화 가능 행렬이다.
  2. A는 n개의 linearly dependent한 eigenvector를 갖는다.  

 

또한,

💡 만약 λ1,λ2,⋯,λn이 n×n 행렬의 서로 다른 eigenvalue이고, 상응하는 eigenvectors v1,v2,⋯,vn 이 있다면, v1,v2,⋯,vn 는 linearly independent하다.

 

즉, 정리해보면

① A가 대각화 가능 행렬이라면, X의 열벡터들은 A의 eigenvector들이고, D의 대각 원소들은 A의 eigenvalue들이다.

② 대각화를 시키는 행렬 X는 unique하지 않다. 즉, D의 열의 순서를 바꿀 수도 있고, 0이 아닌 스칼라배를 할 수도 있다.

③ 만약 n×n 행렬 A가 n개의 distinct eigenvalues를 갖는다면, A는 대각화 가능 행렬이다. 만약, eigenvalue들이 distinct하지 않다면, A는 대각화 가능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A가 n개의 선형독립인 eigenvector를 가지는지 여부에 따라)

④ A가 대각화 가능 행렬이라면, X−1AX=D이고, 따라서 A=XDX−1로 표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조건에 따라 아래와 같은 유도가 가능하다.

즉, A=XDX−1 로 표현 가능하다면, A의 거듭제곱을 계산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예제) A=[2−22−5] 일 때, A100을 계산하라.

 

대각화하는 방법

n×n 행렬 A에 대해

① n개의 linearly dependent한 eigenvector를 찾아 대각화 가능 행렬인지 확인한다.

② n개의 고유벡터 v1,⋯,vn 으로부터 행렬 P=(v1v2⋯vn) 을 만든다.

③ P−1AP 는 대각행렬이 된다.  

 

 

중복도(Multiplicity)

정의

λ0가 n×n 행렬 A의 eigenvalue이면, 이에 대응하는 고유공간의 차원을 λ0의 기하적 중복도(geometric multiplicity)라고 한다.

또한 A의 고유다항식에서 λ−λ0가 인수로 나타나는 횟수를 λ0의 대수적 중복도(algebraic multiplicity)라고 한다.  

 

예제)

 

정리

Square matrix A에 대해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1. A은 대각화 가능 행렬이다.
  2. A의 모든 eigenvalue에 대해서 geometric multiplicity와 algebraic multiplicity는 같다.  

 

닮음 불변량 (Similarity invariant)

정의

두 square matrix A,B에 대해

B=P−1AP

를 만족하는 가역행렬 P가 존재하면 A,B는 서로 닮은 행렬(유사행렬, similar matrix)이라고 하고,

기호로 A∼B라 표현한다.  

 

닮음 불변량

서로 닮은 두 행렬의 다음과 같은 성질들은 서로 일치한다.

  1. 행렬식
  2. 가역성
  3. rank
  4. nullity
  5. 고유다항식
  6. eigenvalue
  7. 고유공간의 차원
  8. 대각성분들의 합(trace)
  9. 대수적 중복도(algebraic multiplicity)
  10. 기하적 중복도(geometric multiplicity)  

C-H 정리

임의의 square matrix A와 그 고유다항식

f(λ)=det(λI−A)=n∑i=0aiλi

에 대해 f(A)=O 이 성립하며, 이를 케일리-해밀턴 정리(Cayley-Hamilton theorem)

라고 한다. (단, O는 영행렬)  

 

예제) A=[1−23−4]  

 

f(λ)=det(λI−A)=det([λ−12−3λ+4])=λ2+3λ+2

f(A)=[1−23−4]2+3[1−23−4]+2[1001]=[−56−910]+[3−69−12]+[2002]=O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선형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적화 문제  (0) 2023.02.16
복소벡터공간  (0) 2023.02.15
고윳값과 고유벡터  (0) 2023.02.12
벡터공간 (2)  (0) 2023.02.08
벡터공간 (1)  (0) 2023.02.07
  • 대각화
  • 대각화(Diagonalization)
  • 중복도(Multiplicity)
  • 닮음 불변량 (Similarity invariant)
  • C-H 정리
'선형대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적화 문제
  • 복소벡터공간
  • 고윳값과 고유벡터
  • 벡터공간 (2)
재바기
재바기
재박이의 테크블로그
JaeTech재박이의 테크블로그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